본문 바로가기
[!] 재테크/배당

JEPQ ETF 완벽 분석 - 월배당 ETF의 새로운 대세

by 뚜피 2025. 1. 14.
반응형

JEPQ

JEPQ?

JEPQ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상장한지 1년 만에 1억 건이 넘는 거래량을 기록하고, 1년이 더 지난 현재 그 거래량의 2배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요즘 주목받고 있는 이 ETF가 궁금해졌습니다.

 

배당 투자에 관심을 두고 계신 분들이라면 JEPI라는 ETF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JEPI는 JP Morgan이 운용하는 상품인데요. 

JEPQ 역시 동일한 회사가 운용하는 상품입니다.

 

JEPI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JEPI는 S&P500 지수를 추종하지만 JEPQ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JEPI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그만큼 조금 더 위험하기도 한 상품이죠.

그럼 JEPQ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JEPQ 분석

JEPQ

전일 시가 및 종가
시가: $56.51, 종가: $55.98 Stock Analysis
3개월 전 종가 대비 현재 주가 수익률
3개월 전 종가: $53.95, 현재 수익률: +3.76% Stock Analysis
6개월 전 종가 대비 현재 주가 수익률
6개월 전 종가: $52.42, 현재 수익률: +6.80% Stock Analysis
12개월 전 종가 대비 현재 주가 수익률
12개월 전 종가: $54.08, 현재 수익률: +3.51% Stock Analysis
주당 배당금
연간 $5.44 Stock Analysis
주당 배당수익률
12개월 전 $10,000 투자 시 현재 수익률
투자 가치: $10,351, 배당 수익: $945, 총 수익률: +12.96%

 

JEPQ는 2022년 5월에 상장하여 아직 3년도 채 되지 않은 아주 어린 ETF입니다.

초기 50달러가 조금 안 되는 금액으로 시작해 2022년 4분기에 40달러 선에서 바닥을 치고 현재까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만큼 해당 지수와 거의 동일한 추세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주목할만한 점은 배당수익률입니다.

현재까지 9.45%라는 높은 수준의 배당수익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JEPQ는 나스닥 100의 기술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어 있고, 해당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 콜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처럼 높은 수준의 배당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어요.

 

JEPQ가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는 기업은 여러분들이 모두 아실만한 기업입니다.

해당 ETF가 가장 많이 담고 있는 기업을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애플(AAPL)', '엔비디아(NVDA)', '마이크로소프트(MSFT)', '아마존(AMZN)', '구글(GOOG)', '브로드컴(AVGO)', '메타(META)', '테슬라(TSLA)', '넷플릭스(NFLX)', ... 로 나타나고 있네요.

 

JEPQ의 장점과 단점

간단하게 알아본 JEPQ의 정보를 통해 이 ETF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며 높은 수준의 배당수익률을 자랑하고 있는 만큼 충분히 매력적이라는 점은 분명해보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JEPQ의 장점

 

1. 높은 배당 수익률

JEPQ는 월별로 배당금을 지급하며, 그 수익률도 9%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매우 높습니다.

얼마 전에 알아본 CONY보단 낮은 편이지만, JEPQ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한다는 점에서 CONY보다는 높은 안정성을 갖습니다.

다시 말해, 안정성도 어느 정도 챙기면서 높은 배당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종목이라는 것이죠.

 

2. 기술주 중심의 성장 잠재력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기술주와 성장주 중심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술주가 상승하는 시기에 배당 수익 외의 추가적인 자본 이익(시세차익)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하죠.

 

JEPQ의 단점

 

1. 상승 잠재력의 제한

커버드 콜 전략을 사용하는 모든 ETF가 갖는 단점입니다.

가격이 특정 가격에 도달할 때 옵션을 팔기 때문에 추종하는 지수(나스닥 100)의 성장분을 따라갈 순 없습니다.

이 전략을 사용하는 ETF의 구조적인 한계라 볼 수 있어요.

이 점 때문에 시세 차익으로 고수익을 얻으시려는 분은 JEPQ보단 QQQ가 더 잘 맞겠습니다.

(시세 차익으로 투자를 하시려는 분은 JEPQ를 쳐다보지도 않으시겠지만요..)

 

2. 변동성 위험

아시다시피 기술주는 그 변동폭이 매우 큽니다.

이 종목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에 투자하기 때문에, JEPQ는 일반적인 시장 ETF보다 변동성이 더 큽니다.

JEPQ가 아니더라도 QQQ 등의 종목에 투자하시는 분도 이 점은 유의하셔야 합니다.

 

3.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

JEPQ는 아직 태어난지 만 3년이 채 되지 않은 ETF입니다.

이 말인 즉, 현재 9% 이상의 높은 배당수익률을 주고 있지만 이 추세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9% 이상의 배당수익률을 보장할 수 없다는 말이죠.

이 그래프는 작년 6월부터 올해까지 약 6개월 동안의 배당성장률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작년 4-5월까지는 배당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그 이후부터는 쭉 플러스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엔 배당성장이 플러스라는 점은 고무적입니다만, 배당액이 감소한 사례도 적지 않다는 점에서 주의할 필요는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상장 시점부터 현재까지 월별로 지급된 배당금을 표기한 그래프입니다.

배당성장률이 오르락내리락한 것에 영향을 받아 실제로 지급된 배당금도 그 변동성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죠.

 

투자 매력도

JEPQ가 자랑하는 9%를 상회하는 배당률은 굉장히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단점 때문에 대부분의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배당률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 알 수 없으니까요.

 

다만, 자본금의 일부를 JEPQ에 투입하는 것은 괜찮은 전략이라 생각합니다.

보다 방어적이고 안정적이지만 배당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ETF 혹은 주식 중심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에 JEPQ를 일부 투입하는 것은 전체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현명한 방법일 것 같습니다.

변동폭이 작고 꾸준한 배당을 주는 종목으로부터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JEPQ와 같은 종목으로 수익률을 제고하는 것이죠.

 

또한 기술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가져가고 싶은데, 큰 하락폭 때문에 망설여지는 경우에도 괜찮을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글

 

 

- CONY ETF 완벽 분석 - 투자 매력과 장단점 총정리
- 커버드 콜 ETF 투자 초보 가이드 - 장점, 리스트, 추천 상품
- 리얼티 인컴(O) 완벽 분석 - 장단점으로 알아본 인기의 비결
- YieldMax ETF 완벽 분석 - 고배당 투자 전략의 장단점 총정리

- YMAX ETF 완벽 분석 - 주 배당 수익과 리스크 총정리